맨위로가기

폴리사리오 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사리오 전선은 1973년 결성된 서사하라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민족주의 조직이다. 스페인의 식민 통치 종식을 위해 무력 투쟁을 시작했으며, 1976년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을 선포하고 모로코와 모리타니에 대한 게릴라전을 전개했다. 알제리의 지원을 받으며, 현재 서사하라의 일부 지역을 통치하고 있으나, 모로코와의 분쟁은 지속되고 있다. 1991년 유엔 감시 하에 휴전이 이루어졌지만, 유권자 자격 문제로 국민 투표가 지연되었고, 2020년 휴전이 붕괴되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사회주의적 성향에서 친시장경제로 이념을 전환했으며, 현재 전 세계 38개국이 SADR을 승인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사리오 전선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서사하라 지역의 독립을 주장하며 폴리사리오 전선에 의해 건국이 선포된 미승인 국가로, 모로코 장벽 동쪽 일부 지역을 실효 지배하고 알제리 틴두프의 난민 캠프에서 행정 기능을 수행하며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 폴리사리오 전선 - 서사하라 자유지구
    서사하라 자유지구는 폴리사리오 전선이 통제하는 서사하라 지역으로, 모로코와의 대립 속에 유엔은 "방벽 동쪽"이라 중립적으로 칭하며 군사 활동 제한 구역으로 나뉘고, 사하라위족 유목민이 거주하며 폴리사리오 부대가 군사 지역으로 통제한다.
  • 1971년 설립된 정당 - 민주연합당
    민주연합당은 1971년 이언 페이즐리에 의해 창당된 북아일랜드의 정당으로, 강경한 유니오니스트 노선을 고수하며, 신 페인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고, 연합주의를 핵심 이념으로 한다.
  • 1971년 설립된 정당 - 스위스 인민당
    스위스 인민당은 1917년 농공시민당으로 창당되어 1971년 개칭된 스위스의 우익 정당으로, 국가 주권과 전통적 사회 질서 유지를 강조하며 반이민 및 반EU 정책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지만 인종차별 논란과 당내 분열을 겪기도 한다.
폴리사리오 전선
기본 정보
폴리사리오 전선 문장
폴리사리오 전선 문장
이름폴리사리오 전선
원어 이름جبهة البوليساريو
로마자 표기Jabhat al-Bōlīsāryū
스페인어 이름Frente Polisario
설립일1973년 5월 10일
창립자엘-왈리 무스타파 사이드 외
본부알제리, 틴두프 주, 사하라 난민 캠프
전신하라카트 타흐리르
PUNS (1975년 이후)
청년 조직사하라 청년 연합
여성 조직사하라 여성 전국 조직
노동조합사하라 노동조합
무장 조직사하라 인민 해방군
국제 연맹진보 동맹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자문)
색상주황색 (주요)
범아랍색
빨강색
초록색
검정색
흰색
웹사이트폴리사리오 전선 스페인어 웹사이트
국가서사하라
국가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이념
주요 이념사하라 민족주의
아랍 사회주의
아랍 민족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세속주의
역사적 이념마르크스주의
정치적 위치
정치 성향좌익
의석
범아프리카 의회(사하라 공화국 의석)
지도부
사무총장브라힘 갈리
대행카트리 압두흐
기타 정보
국가서사하라
찬가صحراؤنا هي الوطن
찬가 (번역)사하라가 우리의 조국이다
서사하라 국기
서사하라 국기
군사 정보
참전서사하라 전쟁
지도자브라힘 갈리
이념서사하라의 독립 국가 건설
부족서사하라 주민
활동 시기1973년-현재
작전 지역서사하라
동맹국알제리
아프리카 연합
적대국모로코

2. 역사

폴리사리오 전선은 1973년 5월 10일 스페인령 사하라에서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 1968년 주에라트 학살 사건의 생존자들과 스페인군 출신 사하라위 참전 용사들을 포함한 여러 사하라위 대학생들이 주축이 되었다.[7] 이들은 스스로를 폴리사리오 전선의 건국 의회라고 불렀다.

1975년 스페인서사하라에서 철수하면서, 모로코모리타니가 이 지역을 분할 점령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이에 반발하여 1976년 2월 27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을 선포하고, 양국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12][13] 국제사법재판소는 서사하라에 대한 판결을 내렸지만, 각 당사자는 이를 자신들의 권리를 확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게릴라전을 지속하면서, 모로코 왕립 공군의 공습을 피해 사하라위 난민들을 알제리 틴두프 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이후 알제리와 리비아의 지원으로 폴리사리오의 군사력은 크게 성장했다.

1979년 8월 5일, 모리타니는 평화 조약을 통해 서사하라에 대한 사하라위인의 권리를 인정하고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 모리타니는 군대를 철수하고 SADR을 공식 인정했지만, 모로코는 모리타니가 철수한 지역을 병합했다.[14]

1980년대 중반부터 모로코는 모로코 장벽을 건설하여 폴리사리오 전선의 공격을 막았다. 이로 인해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지만, 폴리사리오 측의 공격은 계속되었다. 현재 폴리사리오는 모로코 장벽 동쪽의 자유 지대를 통제하고 있다.

1991년 9월 6일부터 유엔 서사하라 민족 자결 지원 임무(MINURSO)의 감시하에 휴전이 유지되었고, 이듬해 독립 국민투표가 약속되었다. 그러나 유권자 자격 문제로 국민투표는 지연되었고, 베이커 계획 등 여러 시도도 실패했다.

2007년 모로코는 자치권 부여를 제안했고, 폴리사리오는 독립 국민투표를 주장하는 자체 제안을 제출했다. 만하셋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양측의 입장 차이로 진전은 없었다.

2020년 11월, 모로코가 게르게라트 완충 지역에 도로 개설을 시도하면서 30년간의 휴전이 깨졌다.[15]

2. 1. 기원

1971년 모로코 대학에 재학 중이던 젊은 사하라위족 학생들은 "사기엘함라와 리오데오로 해방을 위한 배아 운동"을 조직하였다.[7] 이들은 모로코알제리 등지에서 활동하며 서사하라의 독립에 대한 아랍 세계의 지지를 얻으려 했으나 리비아모리타니의 미미한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이후 이 운동은 스페인령 사하라로 중심지를 옮겨 무장 반군 활동으로 발전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1973년 5월 10일 정식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스페인의 식민 통치를 끝내기 위한 방법으로 무력 투쟁을 강조했다. 폴리사리오의 첫 번째 무장 활동은 같은 해 5월 20일 엘항가에서 스페인의 군사 기지를 공격했던 캉가 습격이었다.[27]

2. 2. 스페인의 철수

1975년 스페인에서 프랑코의 사망과 함께 그의 군사 독재 체제가 막을 내리면서 서사하라 지역의 정권 이양 문제가 중요해졌다. 1975년 11월 6일, 모로코 정부는 녹색행군이라는 시위를 조직하여 스페인에 서사하라에서의 완전한 철수를 압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사하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마드리드 협정이 시작되었고, 스페인, 모로코, 모리타니가 참여했다.

1976년에 체결된 마드리드 협정에 따라 스페인은 서사하라에서 완전히 철수했고, 모로코는 사기야 엘 함라를, 모리타니는 리오 데 오로를 양도받았다. 알제리의 지원을 받던 폴리사리오 전선은 이 협정에 반발하여 1976년 2월 27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의 독립을 선언하고 모로코와 모리타니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헤이그의 국제 사법 재판소는 서사하라에 대한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각국은 이를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해석했다.[12][13]

2. 3. 모리타니의 철수

정규군이 3,000여 명에 불과했던 울드 다다 정권은 서사하라의 게릴라전에 대처할 능력이 없었다. 서사하라 국경 근처 주에라트의 철광산은 모리타니의 중요한 수입원이었으나 폴리사리오 반군에 의해 계속 파괴되어 재정적 어려움과 사회 혼란을 겪었다.[14]

정규군 내 인종 갈등도 군사력을 악화시켰다. 남부 출신 흑인들은 북부 아랍민족 간 분쟁에 징집되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북부 모리타니의 무어인과 살라위족은 모로코의 영향력 강화를 우려해 폴리사리오에 협조하기도 했다.[14]

프랑스 공군의 공중 폭격에도 불구하고 게릴라 활동은 줄어들지 않았다. 누악쇼트 공습 중 폴리사리오의 첫 번째 총사령관 엘 올리(El Ouali)가 사망했지만, 모하메드 압델아지즈(Mohamed Abdelaziz)를 새로운 사령관으로 선출한 뒤에도 쿠데타 활동은 계속되었다.[14]

1978년, 모리타니의 다다 정권은 군부 쿠데타로 축출되었고, 폴리사리오와 즉각적인 휴전이 이루어졌다. 1979년 8월 5일, 모리타니 신정권과 폴리사리오 간 평화협정이 체결되어 서사하라에서 살라위족의 권리를 인정하고 모리타니의 영유권을 포기했다. 모리타니는 서사하라에서 모든 군대를 철수시키고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승인하여 모로코와 불화를 일으켰다.[14]

1979년 8월, 모로코 국왕 하산 2세는 모리타니가 포기한 서사하라 영토(리오 데 오로)가 모로코에 합병되었다고 선언했다.[14]

2. 4. 모로코 장벽과 전쟁의 고착화

1980년대 중반, 모로코는 폴리사리오 군대의 진입을 막기 위해 서사하라 곳곳에 모로코 장벽이라 불리는 거대한 모래 장벽을 쌓았다.[32][33][34] 이 장벽은 엘아윤, 스마라 등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서사하라의 주요 도시들을 둘러싸고 있으며, 수만 명의 모로코 군이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로 전쟁은 고착화되었고, 어느 쪽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수 없었다. 그러나 포격전과 게릴라전은 계속되었으며, 모로코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은 긴장 상태가 이어졌다.

현재 폴리사리오는 서사하라 전체 영토의 1/3을 차지하는 모로코 장벽 동부 지역(자유지대)을 통치하고 있으나, 이 지역은 사람이 거의 거주하지 않는 불모지로 고갈된 광산 몇 개만이 위치해 있을 뿐 경제적으로 아무런 이득이 없다.

2. 5. 휴전과 국민투표

1991년 유엔 산하 서사하라의 국민투표를 위한 UN 사절단(MINURSO)이 구성되어 서사하라의 국민투표와 독립을 논의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9월 6일 유엔 감시하에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간의 휴전이 이루어졌다.[15] 그러나 국민투표는 투표권을 둘러싼 양측의 이견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국민투표 재개를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었지만, 2003년 베이커 계획을 포함한 여러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현재도 폴리사리오는 적대 행위를 계속하고 있으며, "전쟁도 아니고 평화도 아닌"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살라위족 난민들 역시 투쟁을 계속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휴전을 지지하는 측의 입장도 존중되고 있다.

1991년 9월 6일부터 폴리사리오 전선과 모로코 간의 휴전은 유엔 서사하라 민족 자결 지원 임무(MINURSO)의 감시하에 유지되었으며, 이는 이듬해 독립 국민투표를 약속한 데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유권자 자격을 둘러싼 의견 불일치로 국민투표는 지연되었다.

2007년 4월, 모로코 정부는 사하라 문제에 관한 왕립 자문 위원회(CORCAS)를 통해 서사하라에 어느 정도의 자치권을 가진 자치 단체를 설립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2007년 4월 중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제출되었고, 프랑스와 미국의 지지를 얻었다. 폴리사리오는 전날 자체 제안을 제출했는데, 이는 이전에 합의된 국민투표를 주장했지만, 국민투표 결과 독립을 지지하는 경우 현재 그 지역에 거주하는 모로코인의 지위를 협상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로 인해 만하셋 협상으로 알려진 협상 과정이 시작되었다.

2007년과 2008년에 네 차례의 회담이 열렸지만, 양측 모두 핵심 주권 문제에 대해 타협을 거부했기 때문에 진전이 없었다. 폴리사리오는 모로코의 제안에 따라 자치권을 국민투표 투표용지에 추가하는 데 동의했지만, 1991년과 1997년에 합의된 독립 국민투표 자체의 개념을 포기하는 것을 거부했다. 모로코는 이에 따라 제안된 자치 조건만 협상하고 투표용지에 독립 옵션을 고려하는 것을 거부했다.

30년간의 휴전은 2020년 11월 모로코 정부가 게르게라트 완충 지역에 도로 개설을 시도하면서 깨졌다.[15]

3. 정치적 이념

폴리사리오 전선은 서사하라의 독립을 최종 목표로 하는 민족주의 조직으로, 살라위 사회의 모든 정치적 이념을 포괄하는 "전선(front)"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특정 이념을 가진 정당으로 보기 어렵다. 실제로 폴리사리오 내부에는 정당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향후 건립될 "민주 서사하라"의 이념이 사회주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70년대 초, 폴리사리오가 작성한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헌법은 당시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의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지만, 살라위족의 민족주의는 특별한 정치적 이념을 보이지 않았다. 1970년대 말, 헌법에서 "사회주의"라는 단어가 삭제되었고, 1991년 폴리사리오는 친시장경제적인 모습을 명백히 했다.

2004년에는 휴전 반대 및 아브델아지즈에 반대하는 폴리사리오 전선 카트 알-샤히드가 등장하면서 "국가 통합" 원칙이 처음으로 깨지기도 했다. 이들은 운동 개혁과 모로코와의 적대 행위 재개를 요구했지만, 폴리사리오가 대화를 거부하고 정치적 결정은 확립된 정치 체제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 1. 이념과 목표

2005년 폴리사리오 군대 열병식


폴리사리오 전선은 서사하라의 독립을 최종 목표로 하는 민족주의 조직이다. "전선(front)"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살라위 사회의 모든 정치적 이념을 포괄하며, 특정 이념을 가진 정당으로 보기 어렵다. 실제로 폴리사리오 내부에는 정당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1970년대 초 폴리사리오가 작성한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헌법은 당시 아프리카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적 성향을 띠었으나, 살라위족의 민족주의 자체는 특정 이념에 얽매이지 않았다. 1970년대 말 헌법에서 "사회주의"라는 단어가 삭제되었고, 1991년 이후 폴리사리오는 친시장경제 노선을 명확히 하고 있다.[1]

폴리사리오는 서사하라 독립 이후 완전 해산하거나, 정당 형태로 다당제 국회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2]

3. 2. 조직 구조

폴리사리오 전선은 특정 정당이 아닌, 다양한 정치적 이념을 포괄하는 "전선"의 형태를 띠고 있다.[1] 1991년, 폴리사리오 전선은 자유 시장 경제와 다당제 정치를 지지했지만, 인도주의적 지원 단체에 의존하는 사회에서는 자유 시장 경제를 시행하기 어려웠다.[2]

폴리사리오 전선은 서사하라의 독립이 이루어진다면 완전 해산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정당의 형태로 다당제 국회에 참가할 것이라고 천명한 바 있다. 이는 서사하라의 독립 달성 후 폴리사리오 전선 총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1991년까지 폴리사리오 전선의 조직 구조는 현재와는 매우 달랐다. 1975년 이전 폴리사리오 전선은 수백 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게릴라 운동으로 기능했기 때문에, 권력 분립을 거의 시도하지 않고 의사결정권을 폴리사리오 최고위층에 집중시켰다.

그러나 1975년 알제리 틴두프 난민 캠프에 기반을 둔 잠정 정부 역할을 맡게 된 후, 이 구조는 급격히 확장된 책임을 다루는 데 부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1976년에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이 캠프와 서사하라의 폴리사리오 점령 지역에서 정부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황이 더욱 복잡해졌다. SADR과 폴리사리오 기관은 종종 중복되었고, 권력 분담은 종종 파악하기 어려웠다.

1991년 총회 때 폴리사리오와 SADR 조직을 모두 개편하고 캠프 구조에 통합하였으며, 서로 더 분리하였다. 이는 운동의 내부 민주주의 확대를 요구하는 항의 시위에 따른 것이었으며, 폴리사리오와 SADR 최고위층의 중요한 인사 이동으로 이어졌다.

현재의 조직 구조는 1991년 운동 내부 개혁을 통해 확정되었으며, 그 이후로 사소한 변화가 있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사무총장이 이끌고 있다. 초대 사무총장은 브라힘 갈리[27]였으며, 1974년 폴리사리오 전선 제2차 전당대회에서 엘-와알리가 그를 대체했다. 엘 와알리 사후 마후푸드 알리 베이바가 임시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1976년 모하메드 압델아지즈가 폴리사리오 제3차 전당대회에서 선출되어 2016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사무총장은 4년마다 정기적으로 소집되는 일반 인민대회(GPC)에 의해 선출된다.

캠프 주민들은 모두 인민대회에서 투표권을 가지며, 기초 단위인 11명으로 구성된 세포를 통해 캠프 행정 업무에 참여한다. 폴리사리오에는 공식적인 회원 자격이 없으며, 대신 그 일에 참여하거나 난민 캠프에 거주하는 사람은 누구나 회원으로 간주된다.

대회 사이에는 사무총장이 이끄는 국가 비서실이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다. 국가 비서실은 GPC에 의해 선출되며, 국방, 외교 등을 담당하는 위원회로 세분화된다.

4. 알제리와의 관계

알제리는 1975년부터 폴리사리오 전선에 무조건적인 지원을 해오고 있다. 알제리는 30년 이상 폴리사리오에 무기, 군사 훈련, 자금, 식량 등을 꾸준히 원조하고 있다.[13] 국제 관계적인 시각에서 볼 때 알제리는 서사하라 분쟁의 시작 당시부터 주된 당사자였으며, 항상 모로코의 반대 측에서 개입해 왔다.[26]

폴리사리오의 사령관 중 하나인 라비브 아유브는 "총 사령관 모하메드 압델아지즈는 알제리가 선택한 인물로 폴리사리오의 설립자들과는 큰 관련성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5. 국제 관계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에 대한 국제적인 승인과 주요 국가들과의 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다.

폴리사리오 전선에 대한 지지는 주로 앙골라나미비아를 포함한 새롭게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나왔다. 대부분의 아랍 세계모로코를 지지했지만, 알제리리비아만이 서로 다른 시기에 폴리사리오에 상당한 지원을 제공했다.[28] 이란은 1980년에, 모리타니는 1984년에 SADR을 인정했으며, 시리아남예멘은 모두 거부 전선(Front of Refusal)의 회원이었을 때 분쟁에 대한 폴리사리오의 입장을 지지했다.[28] 또한 많은 제3세계 비동맹 국가들이 폴리사리오 전선을 지지했다. 동티모르의 프렐린(Fretilin)과의 관계는 매우 강했고, 독립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다.[28][29][30]

이 운동의 주요 정치적, 군사적 후원자는 원래 알제리와 리비아였으며, 쿠바가 그 뒤를 따랐다. 모리타니는 개입을 피하고 알제리의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후원자들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했지만, 1984년부터 서사하라 정부로서 SADR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자국 영토에 상당한 사하라위 난민(약 3만 명)을 두고 있다. 알제리의 지원은 자국의 내전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강력하다. 폴리사리오는 알제리 영토에 위치한 기지와 난민 수용소에 실질적으로 의존하고 있다.[31]

알제리 군 외에도, 물자와 인도적 지원, 식량 및 긴급 구호품은 세계 보건 기구(WHO)와 유엔 난민 기구(UNHCR)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제공한다. 강력한 스페인 연대 단체들로부터도 귀중한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5. 1. SADR 승인 현황

현재 전 세계 38개국이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을 승인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주로 앙골라나미비아를 포함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28] 알제리리비아는 폴리사리오 전선에 상당한 지원을 제공해 왔으며, 이란은 1980년에, 모리타니는 1984년에 SADR을 인정했다.[28] 그 외에도 많은 제3세계 비동맹 국가들이 폴리사리오 전선을 지지하고 있다.

반면, 모로코는 SADR을 인정하지 않고 서사하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2020년 12월 10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이스라엘모로코의 국교 정상화 합의의 대가로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인정한다고 발표했지만, 국제연합(UN)이나 아프리카 연합(AU) 등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5. 2. 주요 국가들과의 관계

알제리는 1975년부터 폴리사리오 전선에 무조건적인 지원을 제공해 왔다. 30년 이상 무기, 군사 훈련, 자금, 식량 등을 꾸준히 원조해 왔으며, 서사하라 분쟁 초기부터 모로코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개입해 왔다.[26] 폴리사리오 전선의 사령관 중 한 명이었던 라비브 아유브는 "총사령관 모하메드 압델아지즈는 알제리가 선택한 인물로 폴리사리오 설립자들과 큰 관련성이 없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리비아 역시 폴리사리오 전선의 주요 지원국 중 하나였다. 1970년대 알제리와 함께 폴리사리오 전선에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냉전 시기 미국은 이 문제에 대해 정치적 중립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모로코를 지원했다. 특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 모로코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다. 반면, 폴리사리오 전선은 소련이나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했다. 동구권 국가들은 모로코와의 관계 및 무역을 중시하여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을 인정하지 않았다.

현재 미국은 모로코의 서사하라 지배를 인정하고 있다. 2020년 12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모로코와 이스라엘의 국교 정상화 합의 대가로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국제연합(UN)이나 아프리카 연합(AU) 등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프랑스 역시 전통적으로 모로코를 지지하는 입장이다. 2007년 4월, 모로코 정부가 서사하라에 대한 자치권 부여를 제안했을 때, 프랑스는 미국의 지지를 얻는 데 기여했다.

모로코는 폴리사리오 전선에 이란이 군사 지원을 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2018년 이란과 국교를 단절했다.[32] 이란은 이러한 군사 지원을 부정하고 있다.

6. 군사력

1980년대 중반부터 모로코는 거대한 사막 방벽인 모로코 장벽을 건설하여 폴리사리오 전선 부대를 효과적으로 막았다. 군대가 주둔하는 이 장벽은 서사하라의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서사하라 남부 지역) (부크라아, 엘아이운, 스마라 등)을 둘러싸고 있다. 이로 인해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어느 쪽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수 없었지만, 폴리사리오 측의 포격과 저격 공격은 계속되었고, 모로코는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 정치적으로 압박을 받았다. 현재 폴리사리오는 모로코 장벽 동쪽의 서사하라 지역(자유지대)를 통제하고 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테러와 민간인 공격을 규탄[24]하고 2003년 카사블랑카 폭탄 테러 이후 모로코에 애도를 표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자신들의 투쟁을 "깨끗한 국민 해방 전쟁"이라고 묘사한다. 1989년 휴전이 처음 체결된 이후로, 이 운동은 모로코가 휴전 조건(독립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 포함)을 준수하는 한 평화적인 수단으로 서사하라의 독립이라는 목표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만약 조건이 객관적으로 위반될 경우, 예를 들어 국민투표가 실시되지 않을 경우 무력 투쟁을 재개할 권리를 유보했다. 모하메드 아브델아지즈는 모로코가 1991년 정착 계획에서 철수하고 2003년 베이커 계획에 서명을 거부한 것은 국제 사회가 개입하지 않을 경우 논리적으로 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혔다.[25]

1979년 평화 조약과 1984년 모리타니사드(SADR) 승인 및 서사하라에서의 철수 이후 폴리사리오-모리타니 관계는 양측 모두 무력 충돌 보고 없이 조용하고 대체로 중립적이었다.

2005년 "점령지"에서 사하라위인들이 일으킨 일련의 시위와 폭동은 모로코에 대한 새로운 압력 수단으로 폴리사리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아브델아지즈는 이를 무력 투쟁의 대체 수단으로 규정하고, 평화적인 시위가 국민투표 없이 진압될 경우 무력이 개입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7. 이탈

1980년대 후반 이후, 폴리사리오 전선의 여러 구성원들이 군사 또는 정치 활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들 대부분은 알제리의 사하라위 난민 캠프에서 모로코로 돌아왔으며, 창립 멤버와 고위 관리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현재 모로코가 자국의 남부 주로 간주하는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1]

참조

[1] 서적 Afrocommunism https://books.google[...] Africana Publishing Company 2023-11-11
[2] 웹사이트 The Polisario's Marxist past sinks into the desert sands https://www.theguard[...] 1999-02-11
[3] 간행물 Question of Western Sahara https://undocs.org/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979-11-21
[4] 서적 Differentiated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in a Post-Brexit Er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11-15
[5] 웹사이트 UN calls for peace in Western Sahara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20-11-17
[6] 웹사이트 Member parties of the Socialist International – Observer parties http://www.socialist[...]
[7] 웹사이트 Proyecto Desaparecidos: Mohamed Basiri El mas antiguo desaparecido saharaui http://www.desaparec[...]
[8] 뉴스 MOROCCO IS FIGHTING SAHARAN GUERRILLAS https://www.nytimes.[...] 1977-10-23
[9] 뉴스 France Is Under Public Pressure To Free 8 Kidnapped in the Sahara https://www.nytimes.[...] 1977-11-01
[10] 뉴스 LE CONFLIT DU SAHARA OCCIDENTAL Huit Français au moins sont détenus par le Polisario https://www.lemonde.[...] Le Monde 1977-10-28
[11] 서적 La politique extérieure de l'Algérie (1962–1978) https://books.google[...] Khartala 1984-01-01
[12] 서적 Endgame in the Western Sahara: What Future for Africa's Last Colony? Zed Books
[13] 논문 Western Sahara https://www.fas.org/[...] 2014-10-08
[14] 웹사이트 Mauritania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u[...]
[15] 뉴스 Fighting in Morocco May Present Biden with Fresh Africa Crisis Amid COVID Surge https://www.msn.com/[...] Newsweek 2020-11-15
[16] 웹사이트 Morocco Exposes Polisario, Algeria's Propaganda in Letter to UN https://www.moroccow[...] 2021-02-25
[17] 웹사이트 Sakharov Prize: EU Rejects Candidacy of Polisario Activist Sultana Khaya https://www.moroccow[...] 2021-10-15
[18] 웹사이트 Opinion: I've been raped, beaten and held under house arrest for fighting for my Sahrawi people https://www.cnn.com/[...] 2021-07-29
[19] 웹사이트 Morocco/Western Sahara: Further information: Sahrawi activist raped by Moroccan forces: Sultana Khaya https://www.amnesty.[...]
[20] 웹사이트 Western Sahara: Harassment of Independence Activist https://www.hrw.org/[...] 2021-03-05
[21] 웹사이트 Sultana Khaya https://www.frontlin[...] 2021-02-05
[22] 서적 Politics and Power in the Maghreb: Algeria, Tunisia and Morocco from Independence to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6-01
[23] 서적 Beyond Religious Freedom: The New Global Politics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2-14
[24] 웹사이트 '11 Sept has not influenced Western Sahara's situation' http://www.afrol.com[...]
[25] 뉴스 'Africa's last colony' http://news.bbc.co.u[...] 2003-10-21
[26] 뉴스 Algeria Claims Spanish Sahara Is Being Invaded https://www.newspape[...] 1976-01-01
[27] 서적 La historia prohibida del Sáhara Español Destino 2002-01-01
[28] 웹사이트 The dignity of the ballot https://www.theguard[...] 2005-10-31
[29] 웹사이트 Timor achieves UN dream http://www.etan.org/[...]
[30] 웹사이트 LATEST DEVELOPMENTS ON WESTERN SAHARA http://www.arso.org/[...] 2004-03-26
[31] 웹사이트 MERIP.org http://www.merip.org[...]
[32] 뉴스 西サハラ独立運動 イラン介入/ドローン供与 領有主張モロッコ警戒 読売新聞 2023-01-26
[33] 웹사이트 西サハラ和平交渉再開に期待、国連安保理 全会一致で決議採択 https://www.afpbb.co[...] AFP 2017-04-30
[34] 웹사이트 西サハラ独立派、停戦終了を宣言 モロッコの軍事作戦で https://www.afpbb.co[...] AFP 2020-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